트랙2_생두의생얼

 

 

 

맛있는 커피를 마시면 미소가 지어지며 행복해지는 경험이 있으신가요?

원더월은 여러분이 그 행복을 느낄 수 있게 도와드리려합니다.

작은 행복이 모여 전 세계가 커피로 평화로워지는 그날까지.

EP1집_오공공 Artist_커피앤피쓰 Release_210111

라인업

트랙1_커피 체리를 벗기다 Release_210112

▶트랙2_생두의 생얼 Release_210115◀

트랙3_웨얼 알유 프롬? [세계커피생산국 라인업] Release_210119

트랙4_커피나무를 아무 곳이나 못 키우는 이유(feat.커피벨트) Release_210122

히든트랙_만나서 반갑습니다 Release_210126

 

www.youtube.com/c/커피앤피쓰

 

커피앤피쓰

원더월은 커피로 세계평화에 "조금"만 이바지합니다.

www.youtube.com

smartstore.naver.com/wonderwallcoffee

 

원더월 커피 로스터스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커피는원더월, 원더월커피로스터스

smartstore.naver.com

 

매주 매장에 필요한 소식을 '월요일 뉴스'에서 만나보세요!

'일일이 찾아보기 쉽지 않은 업계 소식'

'매주 월요일'

'원더월커피로스터스 네이버 블로그에서 만나요.'

 

'왠지 평소보다 많이 혹은 적게 추출되는것 같은 에스프레소'

'평소와는 달리 묽게 느껴지는 커피맛.'

'추출량을 달라지게 하는 원인은 마모된 플로우미터.'

'양쪽 그룹헤드의 추출량이 다른경우도 발생.'

이번 시간의 주제는 '의도치않게 달라져있는 에스프레소의 추출량'에 대해서 다뤄보려고합니다.

월간점검(1)이나 샘플테스팅을 진행하다보면 많은 대표님들께서 추출된 커피의 양이 처음과 다르거나,

양쪽 그룹헤드에서 서로 다르게 추출되는 현상을 경험하셨다는 이야기를 종종 해주시곤 합니다.

게다가 유독 이번 3월에 비슷한 케이스의 문제들이 여러매장에서 발견되어 이번 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 (1)월간점검 : 원더월커피로스터스의 원두를 사용하시는 매장에 매월 방문하여 물, 에스프레소 머신, 그라인더의 상태, 시즌에 맞는 추출레시피, 운영관련 컨설팅을 제공하는 품질관리 서비스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 문제에서 제일 중요한 점은 추출량의 변화가 생겼을때 재빠르게 인지하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의도치않게 몇 g정도가 더 추출되거나 덜 추출되는 현상은

고객에게 제공되는 커피가 우리가 의도하지 않은 맛의 커피일 확률이 매우 높아지게 합니다.

이 현상을 인지하지 못한채 장기간 방치한다면 매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문제의 원인을 숙지한 다음, 원하는 레시피로 추출되고 있는지 인지하고 점검하는것이 포인트입니다.

문제의 원인으로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플로우미터 Flow meter

 

 

출처 -  https://clivecoffee.com/   La Spaziale LUCCA A53 / La Spaziale Vivaldi - Flow Meter Error

 

 

플로우미터는 센서가 내부 프로펠러(임펠러)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설정한 유량에 도달하면 멈춰주는 파츠입니다.

물을 통과시키면서 센서와 프로펠러(임펠러)를 이용하여 유량을 감지하고 추출수를 멈춰주는 역할을 하는 파츠입니다.

흔히 에스프레소가 추출될때 설정한 추출량에 도달하면 멈춰주는는 기능을 담당하고 사용정도에 따라 마모나 에러가 일어날 수 있는 소모성 부품입니다.

 

내부 프로펠러의 마모 및 손상(왼쪽), 플로우미터에 누적된 스케일(가운데), 센서오류(오른쪽)

 

 

 

소모성 부품인 만큼 새 머신을 설치하고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서 문제를 발생시키곤 합니다.

이유는 스케일이 과하게 쌓이거나, 프로펠러의 마모, 센서에 에러 생길때 추출량이 임의로 바뀌게 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 해결방법 -

1. 추출량을 각 그룹헤드별로 다시 설정한다.

2. 양쪽의 그룹헤드가 서로 다른경우, 해당 그룹헤드만 추출량을 다시 설정한다.

3.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머신판매사에 AS문의를 하여 플로우미터 정비를 의뢰한다.

- 플로우미터 내 스케일 제거.

- 내부 프로펠러 세척 후 재조립 or 교체.

- 플로우미터 센서교체.

2. 가압펌프 a pressure pump.

가압펌프(좌), 압력을 이용한 에스프레소 추출(우)

 

인입되어 있는 물을 그룹헤드로 밀어주며 크레마가 추출되는 이유인 압력을 발생시키는 파츠입니다. 고장이 나는 경우는 드물지만 추출량과 압력이 함께 일정하지 않을때 문제를 의심해보시면 좋습니다. 보통 물이 인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모터를 작동시키면 고장위험이 증가하니 유의하기시 바랍니다.

- 점검방법-

1. 모터소음이 어느정도인지 점검한다.

2. 모터주위에서 탄향이 나는지 점검한다.

3. 압력게이지의 수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한다.

- 해결방법-

1. 머신판매처에 AS를 문의하여 부분파츠 교체나 정비를 의뢰한다.

3. 인입되는 상수도 압력의 기복

 

두번째 원인은 환경적 요인으로 겨울철 매장의 상수가 일부 얼어 유량이 줄었을때, 주상복합 건물에 위치한 매장일 경우(낮과 밤에 추출편차 발생) 저녁시간 매장 위 가정집들의 수도사용이 증가하면 수압이 달라져 추출수의 유량차이가 발생하곤 합니다.

최근의 경우엔 1~2월에 매장으로 인입되는 수압이 강해져 감압기 를 이용해 해결한 케이스가 있었습니다.

이 부분은 추후 환경별 현상과 해결방법으로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서 보신바와 같이 주된 해결방법은 현장에서 설정을 바꿔주거나

문제가 지속될 시에는 엔지니어에게 AS를 의뢰하는것이 전부입니다.

다만, 추출레시피를 항상 점검하고 문제의 원인들을 파악하고 있다면

미리 예방하고 재빠르게 대처하여 커피맛의 일관성을 조금 더 탄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월요일 뉴스 첫번째 소식을 마쳤습니다.

오늘 내용은 유익하셨나요? :D

조금 더 자세하게 만드려고 욕심을 조금 내다보니 내용이 어려워지는 부분이 많아

보다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정리해보았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심화설명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어주신 많은 분들께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다음주 더욱 알찬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심화설명 - 1 ]

위와같은 세가지 이유로 인해 에스프레소의 추출량이 의도치않게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할 때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기 매우 어려워집니다. 왜냐하면 커피는 추출량에 따라 맛의 선명함과 농도의 정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커피의 특성상 처음 추출에는 커피성분이 물에 비해 비율이 높지만 뒤로갈수록 물의 비율이 증가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추출량이 과하게 적어진 에스프레소로 아메리카노나 라떼를 제조한다면,

맛의 선명함은 분명하지만 베이스음료(2)의 비율이 많아지게되어 맛이 덮여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추출량이 많아진다면 베이스 음료에 덮여지진 않지만 에스프레소 자체의 농도가 옅어지기에

음료로 제조된다면 생각했던 맛보다 심심하다고 느낄것입니다.

예를들면 원래 3g의 녹차를 100g의 뜨거운 물 3분간 우렸을때와

3g의 녹차를 200g의 뜨거운 물에 3분간 우렸을때 맛의 차이를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조금 더 쉽습니다.

※ (2)베이스음료 : 커피와 믹스되는 음료중 제일 비율이 많은 음료. ex) 아메리카노-물, 라떼-우유, 두유라떼-두유

원더월커피로스터스 추출량 구간별 TDS값(좌), 출처 - PILOT COFFEEROASTERS  (STIR IT UP! STRATIFICATION IN COFFEE)의 에스프레소 계층별 TDS값(우)

 

 위에 보이는 두가지 그래프중 오른쪽에 보이는 그래프는 해외의 유명 로스터리인 PILOT COFFEEROASTERS에서 게시한 [저으세요! "커피 속 계층화" (STIR IT UP! STRATIFICATION IN COFFEE) ] 란 게시물에서 게시된 자료로 에스프레소의 표면부터 주사기를 이용해 깊이별 TDS(3)값을 측정한 그래프입니다.

※ (3)TDS = Total Dissloved Solids : 커피내 녹아있는 물 대비 커피성분의 비율

왼쪽에 있는 그래프는 저희 원더월커피로스터스에서 18g을 도징(4)하여 28초동안 40g의 에스프레소를 추출하였고 10g 단위로 나눠받아 아타고 커피농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TDS값입니다.

※ (4)도징/도징량 : 원두를 분쇄하여 포터필터에 담는 행동 / 포터필터에 담는 그라인딩 원두의 양.

두가지의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결과값은 다르지만 매우 흡사한 기울기의 곡선이 그려지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추출시작 직후에 받은(오른쪽의 그래프에선 에스프레소 표면에서 제일 아랫쪽에 있는) 커피의 TDS값은 18.94%와 11.8%로 제일 높습니다. 그리고 이후로 추출된 커피의 TDS값들을 비교해 보면 추출이 진행될 수록 TDS값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추출시간에 따른 커피성분/물 성분비 변화

 

에스프레소 추출량 별 색상차이(왼쪽부터 10g, 20g, 30g, 40g)

 

이 결과를 관찰하였을때 우리는 추출량이 줄거나 늘어났을때의 농도변화가 굉장히 크기에 전혀 다른 커피가 된다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매주 매장에 필요한 소식을 '월요일 뉴스'에서 만나보세요!

'일일이 찾아보기 쉽지 않은 업계 소식'

'매주 월요일'

'원더월커피로스터스 네이버 블로그에서 만나요.'

 

 

안녕하십니까 :D

'커피를 즐겁게 그리고 함께' 원더월커피로스터스 입니다.

2021년이 된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4월이 시작되며

날씨도 꽤 따뜻해져서 주말이면 벚꽃을 보러 가는것도 좋을것 같아요.

개인적으론 겨울에 마음고생이 많으셨던 매장 대표님들께서도 조금씩 활기를 찾으시고 있어, 저 또한 마음이 따뜻하고 좋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따뜻해진 마음으로 기획하게된

새로운 콘텐츠!!

매주 카페와 식음료 업계에 관련된 알찬소식을 소개해드리는 월요일 뉴스 입니다!

저희 원더월에서 운영하는 월간점검을 비롯한 다양한 채널을 통해 알게되는 것들을 이용하여 보다 유용하고 실용적인 소식들을 많은 분들께 전하고자 이번 콘텐츠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자영업자 소상공인분들께서 매장운영중 겪으시는 어려움들 중.

문제해결자체가 정말 어려운 부분이라 고생을 하실때도 많지만,

생각보다 간단하지만 그 방법을 찾는것 자체를 더 어려워하시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에 작게나마 보탬이 되어 보다 많은 분들께서 행복해지셨으면 하는 마음을 담아 만들어보려 합니다.

 

 

 

 

원더월 '월요일 뉴스'는 4월 13일 부터 매주 월요일에 업로드 될 예정입니다.

궁금하신데 찾기 어려우셨던 내용이나, 필요한 것들을 메일로 문의해주시면그에 관련된 내용도 함께 공유하고 싶습니다.

저희 원더월은 커피로 세계평화에 보탬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꾸준히 선보이며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열심히 하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D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