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통과시키면서 센서와 프로펠러(임펠러)를 이용하여 유량을 감지하고 추출수를 멈춰주는 역할을 하는 파츠입니다.
흔히 에스프레소가 추출될때 설정한 추출량에 도달하면 멈춰주는는 기능을 담당하고 사용정도에 따라 마모나 에러가 일어날 수 있는 소모성 부품입니다.
내부 프로펠러의 마모 및 손상(왼쪽), 플로우미터에 누적된 스케일(가운데), 센서오류(오른쪽)
소모성 부품인 만큼 새 머신을 설치하고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서 문제를 발생시키곤 합니다.
이유는스케일이 과하게 쌓이거나, 프로펠러의 마모, 센서에 에러가생길때 추출량이 임의로 바뀌게 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 해결방법 -
1. 추출량을 각 그룹헤드별로 다시 설정한다.
2. 양쪽의 그룹헤드가 서로 다른경우, 해당 그룹헤드만 추출량을 다시 설정한다.
3.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머신판매사에 AS문의를 하여 플로우미터 정비를 의뢰한다.
- 플로우미터 내 스케일 제거.
- 내부 프로펠러 세척 후 재조립 or 교체.
- 플로우미터 센서교체.
2. 가압펌프a pressure pump.
가압펌프(좌), 압력을 이용한 에스프레소 추출(우)
인입되어 있는 물을 그룹헤드로 밀어주며 크레마가 추출되는 이유인 압력을 발생시키는 파츠입니다. 고장이 나는 경우는 드물지만 추출량과 압력이 함께 일정하지 않을때 문제를 의심해보시면 좋습니다. 보통 물이 인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모터를 작동시키면 고장위험이 증가하니 유의하기시 바랍니다.
- 점검방법-
1. 모터소음이 어느정도인지 점검한다.
2. 모터주위에서 탄향이 나는지 점검한다.
3. 압력게이지의 수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한다.
- 해결방법-
1. 머신판매처에 AS를 문의하여 부분파츠 교체나 정비를 의뢰한다.
3. 인입되는 상수도 압력의 기복
두번째 원인은 환경적 요인으로 겨울철 매장의 상수가 일부 얼어 유량이 줄었을때, 주상복합 건물에 위치한 매장일 경우(낮과 밤에 추출편차 발생) 저녁시간 매장 위 가정집들의 수도사용이 증가하면 수압이 달라져 추출수의 유량차이가 발생하곤 합니다.
최근의 경우엔 1~2월에 매장으로 인입되는 수압이 강해져감압기를 이용해 해결한 케이스가 있었습니다.
이 부분은 추후 환경별 현상과 해결방법으로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서 보신바와 같이 주된 해결방법은 현장에서 설정을 바꿔주거나
문제가 지속될 시에는 엔지니어에게 AS를 의뢰하는것이 전부입니다.
다만, 추출레시피를 항상 점검하고 문제의 원인들을 파악하고 있다면
미리 예방하고 재빠르게 대처하여 커피맛의 일관성을 조금 더 탄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월요일 뉴스 첫번째 소식을 마쳤습니다.
오늘 내용은 유익하셨나요? :D
조금 더 자세하게 만드려고 욕심을 조금 내다보니 내용이 어려워지는 부분이 많아
보다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정리해보았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심화설명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어주신 많은 분들께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다음주 더욱 알찬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심화설명 - 1 ]
위와같은 세가지 이유로 인해 에스프레소의 추출량이 의도치않게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할 때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기 매우 어려워집니다. 왜냐하면 커피는 추출량에 따라 맛의 선명함과 농도의 정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커피의 특성상 처음 추출에는 커피성분이 물에 비해 비율이 높지만 뒤로갈수록 물의 비율이 증가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추출량이 과하게 적어진 에스프레소로 아메리카노나 라떼를 제조한다면,
맛의 선명함은 분명하지만베이스음료(2)의 비율이 많아지게되어 맛이 덮여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추출량이 많아진다면 베이스 음료에 덮여지진 않지만 에스프레소 자체의 농도가 옅어지기에
음료로 제조된다면 생각했던 맛보다 심심하다고 느낄것입니다.
예를들면 원래 3g의 녹차를 100g의 뜨거운 물 3분간 우렸을때와
3g의 녹차를 200g의 뜨거운 물에 3분간 우렸을때 맛의 차이를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조금 더 쉽습니다.
※ (2)베이스음료 : 커피와 믹스되는 음료중 제일 비율이 많은 음료. ex) 아메리카노-물, 라떼-우유, 두유라떼-두유
원더월커피로스터스 추출량 구간별 TDS값(좌), 출처 - PILOT COFFEEROASTERS (STIR IT UP! STRATIFICATION IN COFFEE)의 에스프레소 계층별 TDS값(우)
위에 보이는 두가지 그래프중 오른쪽에 보이는 그래프는 해외의 유명 로스터리인PILOT COFFEEROASTERS에서 게시한[저으세요! "커피 속 계층화" (STIR IT UP! STRATIFICATION IN COFFEE) ] 란 게시물에서 게시된 자료로 에스프레소의 표면부터 주사기를 이용해 깊이별TDS(3)값을측정한 그래프입니다.
※ (3)TDS = Total Dissloved Solids : 커피내 녹아있는 물 대비 커피성분의 비율
왼쪽에 있는 그래프는 저희 원더월커피로스터스에서 18g을도징(4)하여 28초동안 40g의 에스프레소를 추출하였고 10g 단위로 나눠받아 아타고 커피농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TDS값입니다.